헌법재판소, 언론인 선거운동 금지 '위헌' / YTN (Yes! Top News)

  • 7년 전
[앵커]
언론인의 선거운동을 금지한 공직선거법이 헌법에 어긋난다고 헌법재판소가 결정했습니다.

헌재는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등이 낸 공직선거법 일부 조항에 대한 위헌법률심판 사건에 대해 이같이 판단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승환 기자!

이번 헌재의 결정으로 선거운동 활동에서 큰 변화가 예상되죠?

[기자]
헌법재판소가 언론인의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는 공직선거법 조항이 위헌이라고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언론인의 선거운동이 가능해지면서 선거 관련 활동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헌재는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와 주진우 시사인 기자가 낸 공직선거법 위헌법률 심판 사건에 대해 7대 2의 의견으로 위헌을 결정했습니다.

재판부는 방송과 신문, 뉴스통신 등 다양한 언론매체 중에서 어느 범위로 한정될지, 또 어떤 업무에 어느 정도 관여하는 사람까지 언론인에 포함하는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봤습니다.

이에 따라 공직선거법 조항 등이 가능한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내용과 범위를 규정해야 하는 '포괄위임금지' 원칙에 어긋난다고 판단했습니다.

또 정치적 중립성이 요구되지 않고 정당 가입이 허용되는 언론인에게 개인적 선거운동까지 모두 금지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언론매체를 통한 활동에 있어 이미 다른 조항들에서 충분히 규율하고 있기에 현 조항이 언론인의 선거운동 자유를 침해한다는 취지입니다.

또 다른 나라의 경우에도 언론인의 선거운동을 전면적으로 제한하고 위반할 때 처벌하는 제도를 찾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언론인의 선거운동 금지는 위헌이지만 여전히 언론기관은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에 대해 지지를 하거나 반대 의사를 보일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이번 헌재의 위헌법률 심판은 어떻게 시작된 건가요?

[기자]
지난 2012년 4·11 총선 직전 딴지일보 김어준 총수와 시사인 주진우 기자가 민주통합당 정동영 후보와 김용민 후보 등을 대중 앞에서 공개적으로 지지하면서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재판에 넘겨졌는데요.

현행 선거법은 중앙선관위 규칙으로 정하는 언론인의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고 이를 위반하면 3년 이하의 징역이나 6백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돼 있습니다.

김 씨 등은 공직선거법 조항이 선거운동이 금지되는 언론인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아 범죄와 형벌을 미리 규정하는...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60630155639180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